본문 바로가기
기업 분석법

주식투자를 시작 할 때 알아야할 첫번째 단계

by 합리적인투자 2022. 9. 21.
반응형

 

주식투자를 시작할 때 필요한 첫 번째 단계는 본인의 위험 수용도이다. 투자에서는 이를 "Risk aversion"이라고 칭한다.

Risk aversion이란 위험 수용도를 뜻한다. 포트폴리오에 대하여 공부하다 보면 위험수용도에 대한 개념이 나오는데 본인의 위험 수용도에 따른 포트폴리오의 투자 비중과 목표수익률 그리고 변동성이 달라짐을 뜻 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개인투자자들에게 optimal portfolio strategy와 같은 진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전 편의 기업 분석법에서 나의 첫번째 단계인 시가총액 분류를 위하여 위험 회피 성향을 이야기했다. 

 

https://investmoneywithme.tistory.com/15?category=1043482 

 

기업 분석

주식투자 어떻게 해야 할까? 기업을 분석하는 이유는 내가 겪을 수 있는 손실을 크게 줄여 놓는 것이 중요하다. 주식투자를 해오면서 크게 돈을 벌기도 하며 잃어보기도 하였다. 필자의 경우 코

investmoneywithme.tistory.com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에서 역사적으로 소형주의 투자가 대형주의 투자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보여왔다. 약세장이나 베어마켓의 경우 대형주의 투자가 더 안전하다는 것은 이론적으로도 알려진 바 있다. 하지만, 파마 프렌치의 연구에서도 알 수 있듯이 소형주의 주식투자가 더 높은 수익률과 변동성을 가진 것은 사실이다. 

 

소형주가 더 높은 수익을 가져다 주는 이유는 간단하다.

 

소형주는 시가총액이 작은 기업을 의미한다. 반면에, 대형주는 시가총액이 큰 기업을 의미한다. 시가총액이 어찌 되었든, 주식 투자를 하는 모든 이의 관심은 수익이다. 얼마나 큰 수익을 낼 수 있는지가 주식 투자자가 주식 투자를 하는 본질적인 이유이기 때문이다.

 

소형주의 경우 시가총액이 작기에 작은 시가총액에서 조금의 투자금이 들어와도 원래의 시가총액 대비 들어온 투자금의 규모에 따라 기업의 사이즈가 비율적으로 더 커진다. 반면에, 동일한 투자금이 대형주에게 들어올 경우 해당 투자금이 대형주의 시가총액에 비해서 작기에 수익률이 커지지 않는 것이다.

 

이해하기 쉽게 말하자면 코스닥에 작은 소형주 (시가총액 1,000억)를 가정하고 삼성전자를 가정해보자. 삼성전자는 9월21일을 기준으로 현재 330조의 시가총액을 가졌다. 만약 동일한 투자금 1,000억 원이 코스닥 소형주와 삼성전자에 들어왔다고 가정해보자. 소형주의 경우 주가는 100% 상승하는 반면 삼성전자는 호가창 한 두 칸 움직이고 말 것이다. 따라서, 소형주가 통상 더 큰 수익과 손실을 보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양날의 검인 것이다. 

 

다시 돌아와서, 필자의 경우 본인의 리스크에 따라 시가총액으로 분류한 투자 방법으로 기업을 스크리닝 하는 것을 추천한다. 시가총액을 이용하여 탑 다운 형식으로 기업을 가르게 되면, 내가 원하는 리스크의 정도에서 투자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질적인 투자에 대해서 이야기 하자면, 가장 먼저 코스피를 투자할지 코스닥을 투자할지 정한다. 코스피를 투자한다는 것은 조금 더 안전한 투자 방법에 가깝고 코스닥에 투자하는 것은 조금 더 높은 수익과 손실 그리고 변동성을 감내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게 내가 어디에 투자할지 정하면 이제 시가총액 사이즈를 정해야한다.

 

필자는 크게 시가총액을 3개로 나눈다.

 

1,000억 원 이하, 1,000억 원에서 5,000억 원 사이, 5,000억 원에서 1조 사이.

 

1조 이상의 기업들도 많다. 하지만, 내가 생각하기에 1조 이상의 기업은 대기업으로 분류한다. 필자는 소형주 투자를 선호하기에 높은 시가총액을 가졌다고 한들 1조 2천억 아래에서 거래되는 기업을 매수한다. 

 

1,000억 원 이하의 기업

해당 기업은 매우 변동성이 큰 범위에 속하는 기업들이다. 조금의 투자금으로 주가가 뻥튀기되는 경우가 허다하며 일반적으로 주식 상한가가 많이 나오는 종목이다. 반대로, 하한가도 많이 나오는 영역이기에 위험을 충분히 감내할 자신이 있다면 해당 기업들을 매수하는 것을 추천한다. 

 

나머지도 마찬가지이다. 1,000억 원에서 5,000억 원 사이의 기업들은 덜 변동성이 있지만 여전히 높은 기대수익률을 가져다줄 수 있는 기업들이 많이 있다. 5,000억에서 1조 사이의 기업들도 마찬가지 논리로 덜 변동성 있고 더 낮은 기대수익률을 가진 그룹이다.

 

이제 본인이 가진 나이와 시드머니에 대해 고려한 뒤 해당 시가총액 그룹을 선택해야 한다.

 

1. 나이

 

본인의 나이가 어린가? 그런데도 분산투자를 하고 있으며 대형주 투자를 하고 있다면 복리의 마법을 이용하여 큰 수익금을 얻는 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다. 내가 나이가 어리다면 공격적으로 투자할 것이다. 잃어봤자 시간이다. 물론 시간은 돈이지만, 어린 나이에 주식을 통해 몇백만원을 잃었을 때 느끼는 고통과 40대의 가장이 투자를 통해 큰 금액을 잃는것은 다른 이야기이다. 내가 책임져야할 사람이 없고 자유롭게 투자 할 수 있는 나이라면, 본인의 성향에 맞게 투자에 대해 잘 공부한 뒤 소형주에 대해 투자하는 것을 추천한다. 물론, 소형주에 투자하기로 결정했다면 꽤 많은 공부를 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 시가총액에 해당하는 기업들에는 지뢰(상장폐지)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나의 블로그에 적은 글들을 하나하나 읽어 간다면 지뢰를 피하는 데에는 충분한 도움이 될 것이다. 

 

2. 시드머니

 

시드머니가 작은가? 시드머니가 작다면 해당 금액을 잃어도 내가 근로소득으로 충분히 만회할 수 있다면, 공격적으로 투자할 것이다. 반면에 나의 시드머니가 큰가? 그렇다면 주식을 통해 그 시드머니를 근로소득으로 만드는데 오래 걸린다면 상대적으로 시가총액이 큰 기업에 투자하라고 할 것이다. 

 

정리하자면 네 가지의 케이스로 나누어진다.

 

1. 나이가 어리고 시드머니가 작은 경우

 

2. 나이가 어리고 시드머니가 큰 경우

 

3. 나이가 많고 시드머니가 작은 경우

 

4. 나이가 많고 시드머니가 큰 경우

 

본인이 어디에 속해있는지 알아야 한다. 내가 나이가 어리고 시드머니가 작더라도 책임져야 할 사람이 있고 당장 여윳돈으로 하는 것이 아닌 언젠가 출금을 해야 할지도 모르는 돈으로 투자를 하는 것이라면 나이가 어리고 시드머니가 작더라도 보수적으로 투자해야 할 것이다. 

 

반대로, 나이도 많고 시드머니도 크지만, 그 큰 시드머니가 본인에게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이고 여유롭게 투자할 수 있다면 공격적으로 소형주에 투자를 하더라도 상관없을 것이다.

 

즉, 융통성 있게 본인의 상황을 잘 인지하고 자신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시가총액 Range를 고려해야 한다. 

 

나의 경우 현재 5,000억 원에서 1조 사이의 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선호한다.

 

나의 케이스는 2번에 속한다. 나이는 어린 편에 속하지만, 공격적인 투자 전략 덕분에 시드머니가 커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는 1,000억 원 이하의 너무 변동성 큰 종목은 건드리지 않는 편이다. 물론, 내가 분산투자를 많이하는 투자자라면 1,000억원 이하의 투자도 하겠지만 나는 한 기업을 깊게 판 뒤에 분할 매수하여 집중투자하는 편이다. 종목은 두 개 이상 잘 가져가지 않기에 나는 신중하게 기업을 고르고 한 종목을 집중적으로 매수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인이 공부를 할 의지가 있고 주식 시장의 투자 행위 자체를 즐긴다면 나와 같은 길을 따라오는 것을 추천한다.

 

하지만, 그러한 공부를 할 자신도 돈에 대한 감각도 없다면, 나스닥 QQQ를 적립식으로 매수하는 게 나는 가장 현명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투자 블로그인 만큼 시장에서의 알파를 얻기 위해 내 블로그를 보고 있다면 나스닥 적립식이 아닌 시장을 outperferform 하는 방향을 지향하는 사람들이 나의 대부분의 독자라고 생각한다. 

 

자, 이제 시가총액에 대한 분류는 끝났다. 다음 과정은 차트분석이다. 차트분석은 따로 한 페이지로 빼서 지속적으로 올릴 예정이다. 차트 분석은 사실 내용이 방대하지만 다음 편에서는 간략하게 어떤 것을 위주로 봐야 하는지만 이야기하고 다른 차트분석 페이지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반응형

댓글